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발간물

정책우수사례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표준분석모델 구축·활용

연도 2023 대분류 지방자치단체
국가 경기도
발행기관 통계청 수상내역
2023 지역통계 우수사례 우수상
사례유형 지방행정 자료출처 지역통계 우수사례집Download
키워드 #치안안전# 표준분석모델# 범죄예방환경설계# 공공데이터# 도시안전환경 링크 https://kostat.go.kr/board.es?mid=a10412020100&bid=0053&act=view&list_no=428663&tag=&nPage=1&ref_bid=

배경 및 필요성

통계청 사회조사(2020,2022)에 따르면 국민들의 범죄로 인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3명 중 1명 꼴인 29.6%로 나타남
범죄문제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 저하, 유무형의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을 발생시킴
범죄 유발 가능성이 있는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해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안전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함

추진내용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 안전 환경 분석 모델을 구축하고자 '범죄예방환경 표준분석모델 구축 사업'을 추진함
표준분석모델 개발을 통해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지표 및 범죄 취약 지역을 도출하고 환경 개선 필요 지역 선정을 자동화함
지자체 데이터와 공공개방 데이터의 인구정보 및 용도지역지구 등 범죄발생 요인에 대한 데이터 선정·수집하여 활용함
행안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구축하여 별도 데이터 구입 없이 통계데이터, 공공데이터, 기관보유데이터 분석이 가능함

정책효과

어두운 골목 조도개선, 안심반사경 설치,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사업 추진 등 안산시 도시안전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짐
표준분석모델로 구축되어 안산시를 포함한 전국지자체가 도시안전환경 분석 활용이 가능함
분석 결과 활용으로 셉테드사업 시 최적의 사업지 우선 선정을 통한 예산 낭비 방지 및 최대의 효과가 기대됨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 안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원은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를 위해 정보활용 목적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 제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유의사항

본 자료의 저작권은 발행기관에 있으므로, 해당 저작물의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과 관련한 사항은 발행기관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활용

다운로드
레이어 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