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발간물

정책우수사례

보이스피싱 범죄자가 남긴 목소리, 범죄조직단까지 확인한다

연도 2023 기관분류 중앙부처
시도 세종특별자치시 시군구
기관/업체 행정안전부 발행기관 인사혁신처,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사례유형 재난안전 자료출처 적극행정 우수사례집DownloadDownload
수상내역
키워드 #보이스피싱 범죄# 범죄자 음성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 화자식별# 통합데이터분석센터
링크 https://www.mpm.go.kr/proactivePublicService/local/passive/?boardId=bbs_0000000000000191&mode=view&cntId=190&category=%EA%B3%B5%EC%A7%80%EC%82%AC%ED%95%AD&pageIdx=1

배경 및 필요성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범죄는 총 15만 6,249건, 피해액은 3조 원을 넘어섬
보이스피싱 범죄는 국민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지만 범죄자 음성 분석을 위한 제반 여건이 부재했음
보이스피싱 범죄는 그룹으로 행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화자식별(話者識別)을 기반으로 한 범죄자 그룹화를 위해서는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이 필요함

추진내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디지털과는 금융감독원이 수집한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 자료에서 보이스 피싱 범죄자의 음성을 분리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2022년 12월 31일 기준, 누적 14,176건의 음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기록된 정보에서 공범이 확인되는 경우 규칙을 정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
범죄자 DB에서 단일 범죄자에 대한 화자식별과 보이스피싱 범죄자 그룹화를 위해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의 협업하여 세계 최초로 보이스피싱 범죄조직단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음성분석모델을 개발함

정책효과

대량의 음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업무 실현이 가능해짐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 등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범죄조직 총책 등 51명을 검거함
음성 분석 모델을 통해 보이스피싱 범죄뿐만 아니라 전세대출 사기, 카드명의 도용 등 금융사기 범죄수사에도 활용 가능해짐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 안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원은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를 위해 정보활용 목적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 제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유의사항

본 자료의 저작권은 발행기관에 있으므로, 해당 저작물의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과 관련한 사항은 발행기관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활용

다운로드
레이어 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