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주제별 연구보고서

인구감소시대의 지방자치단체 조직운영전략: 시나리오 플래닝을 중심으로

  • 연구자

    김지수, 최지민, 유자영
  • 발간연도

    2024
  • 분류

    기본보고서
  • 카테고리

    지방자치분권
  • 조회수640

    다운로드수97

원문 다운로드

초록 언어선택

본 연구는 국가차원의 인구감소 등 급격히 변화되는 행정환경에 대응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방식에 대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따라서 현행 조직관리제도 기반으로 전개되는 대부분의 연구와 달리, 제도적 한계 범위를 넘어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환경을 분석하고 조직운영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관점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선행연구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은 그간 중앙-지방간의 자치조직권 범위에 관한 법제도적 기준과 그 기준을 정하기 위한 논의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은 ‘전략’ 개념과 거리가 멀고,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보다는 단지 ‘기구설치 및 정원관리’에 관한 법제도 변화에 대응하여 점증적으로 확대되는 현상을 보여왔다.....
본 연구는 국가차원의 인구감소 등 급격히 변화되는 행정환경에 대응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방식에 대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따라서 현행 조직관리제도 기반으로 전개되는 대부분의 연구와 달리, 제도적 한계 범위를 넘어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환경을 분석하고 조직운영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관점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선행연구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은 그간 중앙-지방간의 자치조직권 범위에 관한 법제도적 기준과 그 기준을 정하기 위한 논의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은 ‘전략’ 개념과 거리가 멀고,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보다는 단지 ‘기구설치 및 정원관리’에 관한 법제도 변화에 대응하여 점증적으로 확대되는 현상을 보여왔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는 민간조직과 달리, 스스로의 인건비에 관한 부담을 100% 자체수익으로 부담하지 않고, 국가 및 상위자치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사무를 수행하기도 하기 때문에 지역의 행정수요변화와 무관하게 공무원 정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러나 2021년 국가차원의 인구가 감소되기 시작하면서, 이제 인구감소는 수도권-비수도권, 대도시-농어촌 간의 불균형에 관한 문제로 특정한 법정인구감소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전체의 세수감소, 국가전체의 활력저하 및 생산성감소, 국가차원의 요보호대상자의 확대 등 새로운 미래전망을 제시한다. 인구증가를 전제로 설계되었던 국가차원의 모든 정책이 새롭게 리프레이밍(reframing)되어야 하는 시점이 온 것이다.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수도권과 대도시로의 집중이 가속화되는 미래를 예견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제는 지방자치단체도 ‘조직운영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이제는 현재의 법제도적 한계를 넘어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다양한 조직운영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주도적·적극적 주체로서 정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동시에 지방자치단체가 인구감소와 같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때로는 입법화와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지역 간 협력과 연대를 통해 창의적으로 조직운영전략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구감소시대에 지방자치단체 조직운영전략은 현재의 법제도적 한계를 넘어 필요할 경우 지방행정체제개편과 같은 제도적·구조적 차원의 변화를 동반한 도전적인 방안까지도 포함할 수 있도록 개념이 확장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동시에 인사관리 및 일하는 방식 등에 관해서도 조직운영전략에 포함하여, 다양한 대안을 검토·실험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져야함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확장된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적용하여, 인구감소에 대응하여 지방자치단체 조직차원의 핵심이슈라 할 수 있는 “중기인력계획 상 지방자치단체의 총정원규모 변화에 대한 전략수립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나리오의 개발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처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상황을 전문가의견조사를 통해 정교화하였고, 최종적으로 8개의 시나리오별로 상대적으로 더 적합도가 높은 전략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전략은 행정체제개편을 포함하는 방식부터 단순한 정원의 증감 여부를 선택하는 방식, 인사관리 및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다.
시나리오개발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기인력계획수립을 위해 본 시나리오개발결과를 활용하게 될 실무자들을 위해 적용방법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국가차원의 위기가 존재하는 3가지 시나리오에 관한 적용예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가이드라인 개발의 함의와 제도적·인식적 한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인구감소시대의 지방자치단체 조직운영전략에 관한 학술적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행정체제개편 및 지방자치단체 조직관리제도개선,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전략개발을 위한 정책적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This study has began with the perspective that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paradigm of local governments should change in response to the rapid administrative environmental change, such as population decline at the national level. For doing so, this study has derived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and current status and go further based on it suggests new perspective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analyze their own environment and seek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of local governments could be redefined as a diverse spectrum that includes everything such as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hanges, or improvements at the individual behavior level.
An uncertain future could be a great burden to organizational managers. It is beca.....
This study has began with the perspective that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paradigm of local governments should change in response to the rapid administrative environmental change, such as population decline at the national level. For doing so, this study has derived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and current status and go further based on it suggests new perspective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analyze their own environment and seek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of local governments could be redefined as a diverse spectrum that includes everything such as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hanges, or improvements at the individual behavior level.
An uncertain future could be a great burden to organizational managers. It is because that they conducts additional workload such as choosing an alternatives, persuading members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consulting and coordinating between each level of governments. However, if we can predict the risk of uncertainty through such choices and examine various scenarios accordingly, the process of strategy development will be improved more reasonably.
Therefore, this study has methodologically applied to scenario planning technique that focused how local governments should change the size and strategy of the garden when establishing a mid-term human resources plan. In doing so, this study develops eight scenario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blems in the country and region (local government, neighboring local government). It has been reviewed the main strategies by expert survey and suggests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how to work by investigating various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develops an application guidelin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scenarios and presents application examples for three scenarios that assumed a national crisis situation. Also, this study is to seek a solution to improve usability by suggesting institutional and epistemological improvement measures.
Finally,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ir capacity for organizational operation in the future, and will also be able to contribute as an initial study for expanding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of local governments at an academic level.

더보기

조직진단분석센터

소개 - 기능재분, 기구편제, 인력규모 등의 컨설팅 대표 김지수 센터장
대표전화 033-769-9857
대표팩스

최지민

최지민

직위 연락처 E-mail
- - -

학력/전공/경력

논문 및 저서

연구보고서

구분 보고서명 링크
레이어 창 닫기

메일주소확인 아래의 코드를 입력해주세요.

레이어 창 닫기